안녕하세요, 비즈스타터입니다!
오늘은 미국에서 유명한 2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전!격! 비교해보겠습니다 🙂
한국에는 와디즈가 있는 반면에
미국에는 킥스타터(Kickstarter)와 인디고고(Indiegogo)가 있습니다.
각각의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은 각각의 장단점을
가지고 있기에 캠페인에 따라 알맞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
선택하시는 것이 성공적인 캠페인에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!
간략하게 두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 대해
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!
| ||
펀딩 지급 | 펀딩 성공시 | 모금된 금액(성공/실패 상관 없음) |
비용 | 펀딩이 성공했을 시 전체 금액의 5% | 캠페인 설정비용 없음플랫폼 사용료: 5%카드 수수료: 3% + 30¢페이팔 수수료: 3-5% |
적한한 캠페인 | 예술, 음악, 영화, 기술등의 창의적인 프로젝트 | 낮의 목표액을 가진 거의 모든 분야의 프로젝트 |
장점 | · 월등히 높은 후원자수와 모금 금액·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찾는 후원자가 주를 이루고 있음· 최고의 프로젝트를 제작할 수 있는 자원들을 제공 | · 유연한 세금 공제 펀딩· 데이터에 기반한 정보를 통해 효과적인 캠페인 진행을 도와줌· 상대적으로 유연한 규정· 캠페인에 성공하지 못해도 모금된 금액 수령 가능 |
단점 | · 펀딩 성공시 8-10%에 달하는 높은 수수료· 펀딩 성공시에만 모금액 지급· 오프라인 활동과 온라인 캠페인의 통합이 어려움· 상대적은 짧은 캠페인 기간 | · 총 8-10%에 달하는 수수료· 적은 후원자수와 낮은 인지도· 평균적으로 낮은 모금액· 확실하지 않은 명성 |
앱 존재 유/무 | 유 (후원자용) | 유 |
고객 지원 | 헬프 센터 | 헬프 센터이메일 문의 (24시간 이내 답변) |
한국에서 미국 크라우드펀딩 도전하는 업체들이 많이 사용하는 플랫폼은 킥스타터와 인디고고입니다!
자신의 상황과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추어 알맞는 플랫폼을 선택하여 성공적인 캠페인에 한발 더 다가가세요!
미국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등록을 위한 미국 사업자 등록 및 미국 내 주소, 전화번호 제공,
그리고 저희의 크라우드펀딩 팀이 현지화, 컨설팅, 기획, 비디오제작, 캠페인 제작, 홍보, 백커 대응 그리고 사후 지원까지..!
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합니다!
비즈스타터와 함께하시면 지금 바로 가능합니다 🙂
오늘 상담 받아보세요!